휴 트랜차드의 항공전략사상
1. 서 론
제 2차 세계 대전은 제 1차 세계 대전에서 등장한 항공기와 전차 등의 신무기가 새로운
전술과 접목이 되면서 기존의 전쟁 수행 방법을 바꾼 전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신무기와
전술의 접목은 기존의 특정 전선에서의 전투를 전후방이 따로 없는 국가 총력전의 형태로
바꾸었고, 대량의 비전투 민간인의 死傷을 가져오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예가 대전 중 미영 전략 공군과 독일 공군에 의하여 수행된 전략폭격 전술 중의
하나인 도시폭격(지역폭격)이며, 2차 대전 기간동안의 독일과 일본에 대한 연합전략폭격전역은
그 방대함과 복잡성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까지 빛나는 군사작전으로 손꼽히고 있다.
트렌차드에게서 이론적 뒷받침을 받은 영국공군의 야간 지역 폭격과 두헤와 세바스키의
영향을 받은 미육군항공대의 주간 정밀폭격은 결국 유럽에서는 드레스덴, 아시아에서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라는 전략폭격의 상징물을 낳았다.
이러한 선각자들의 사상은 그 당시 기술력과 전쟁수행형태를 보았을 때 선구자적 사상
이었으며, 그들의 사상은 100여년이 지난 오늘날에 더욱 눈부시게 빛나고 있다.
본 글은 이들 중 영국의 독립된 공군을 창설하고 유지시킨 진정한 항공인 이었으며 항공전략사상의
개척자였던 휴 트렌차드의 생애와 항공전략사상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2. 트렌차드(Hugh Montague Trenchard, 1873~1956)의 생애
- 1873년 잉글랜드 토톤(Tauton) 출생
- 1893년 영국육군 입대, 1년 후 Scot Fusiliers연대의 장교로 임관
- 1903년 보어전쟁에서 부상(폐관통, 부분마비), 이후 10년간 나이지리아에서 복무
- 1912년, 39세에 비행을 배워 비행교관이 됨
- 1913년 윌트셔 어퍼번에 있는 중앙비행학교 부교장 역임
- 1914년 영국의 1차 대전 참전시 본국에서 육군항공대의 예비전력 양성
- 1915년(1차대전중) 영국 비행대(영국 육군의 1개 병과) 프랑스 주둔 부대 지휘관 보임
제공권을 완전히 장악하기 위해 끊임없는 공격을 감행한 그의 작전은 영국 공군의
표준원칙으로 자리잡음
- 1917년 6월 13일 독일 공군의 런던 공습
⇒ 트렌차드는 서부전선에서 독일의 후방을 공격하여 지상에 있는 독일 항공기를
격파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런던에 대한 독일의 공습을 중단시키는
방법은 오직 대륙에서 독일 항공부대를 완전히 넉아웃시키는 것 뿐이라고 주장
⇒ 런던공습은 육군항공대와 해군항공대를 하나로 통합시켜 공군성과 영국 공군을
창설시켜주는 주요한 계기가 되어, 영국정부는 Smuts 원수와 육․해군 장교로
‘공군조직과 공습에 대비한 방어를 위한 위원회’를 구성
⇒ 위원회는 항공전력의 효율성과 유효성, 그리고 국가의 생존을 위하여 독립공군의
창설을 대안으로 제시함 : 순수한 국가적 필요에 근거함
- 1917년 11월 영국정부 공군창설을 법으로 제정
- 1918년 1월 공군성 구성
- 1918년 4월 “당면한 국가의 생존”을 이유로 독립영국공군(RAF : Royal Air Force) 창설
트렌차드는 초대 참모총장으로 취임하였으나 3주만에 사임
동년, 독일의 목표 공습 위해 영국 공군의 중폭격기로 구성된 연합국 독립폭격대 조직
- 1918년 프랑스 독립 부대(Independent Force)의 사령관으로 부임
- 1919년 국방장관 윈스턴 처칠에 의해 영국 공군 참모총장 재임명후 1929년 은퇴
재임시 공군 장교 후보생과 참모장교를 위한 Cranwell Cadet College, Andover Staff
College, Halton Apprentice School(기술학교) 등을 설립하여 인재를 양성하고, 단기
복무제도 도입 및 훈련된 예비역 장교를 양성하는 등 영국 공군력을 강화
- 1921년, 공중통제(Air Control)개념을 고안
- 1927년 원수(MARSHAL) 진급
- 1945년, 「The Principles of Air Power on War」발간
- 1931~35년 런던 시 경찰국장, 1936~53년 유나이티드 아프리카 컴퍼니 사장 역임
- 1919년 준남작 훈위, 1930년 남작, 1936년 자작 작위 수여
- 1956년 사망(83세)
3. 트렌차드의 항공전략사상(전략적 폭격사상)
가. 공중우세는 군사적 성공을 위해 필수적인 전제조건이다.
1) 항공력만으로 전쟁에서 승리할 수는 없지만 지상군의 진격과 점령에 필요한 조건들을
창조할 것임
2) 공군은 육․해군과 달리 전선의 적 군사력 격멸과정을 거치지 않고 적의 생산 중심지와
교통통신을 직접 공격할 수 있음
나. 항공력은 본질적으로 전략적이며 공세적인 무기다.
1) 영공의 완전한 방어는 불가능하므로 방공업무에 전념하는 것은 항공력의 낭비이므로
공격에 역점을 두어야 함(전략적 폭격사상)
2) 최선의 방어는 공격이며, 제한된 방어는 국민사기를 위해 유용함.
다. 항공력의 최대 효과는 심리적인 효과이다.
1) 전략폭격의 목적은 적의 전쟁능력 및 적국 국민과 정부의 사기를 말살시키는 것임
2) 전략폭격은 국제법에 의하여 수행되어야 함(도덕성)
라. 모든 항공전력은 단일 지휘하에 통합되어야 한다.
4. 트렌차드 사상에 대한 평가
가. 독립 공군을 창설하고 유지시킨 진정한 항공인이자 항공전략 사상의 개척자
그는 참모총장으로 재직하는 동안 독립된 군으로서 영국공군을 유지하기 위하여 헌신적인
열정과 뛰어난 전략적 식견을 가지고 육․해군성과 경제부처 등의 강력한 반대자들과 투쟁하였다.
1924년 영국은 어떤 대규모 전쟁에도 참전하지 않을 것을 가정한 10년 규정(10 Year Rule)을
적용하여 영국공군을 1/10으로 감축하였으며 빈약한 국방예산의 17%만을 공군에 배정하였다.
더구나 해군과 육군은 다시금 공군을 폐지하고 자군 내에 항공부대를 가지려고 하였다.
트렌차드는 이에 대해 과거의 고정관념을 과감히 탈피한 공중통제(Air Control) 개념을
고안하여 대처하였다. 핵심은 "평시에 있어서 공군력은 어느 군보다 가장 경제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 새로운 전력이 된다."는 것이었다.
나. 트렌차드의 중심 사상인 전략폭격 이론은 이후 ‘전략억제’ 개념 등장에 중대한 영향을 줌.
- 전략폭격은 평시에도 국가를 지켜 주는 정치적 기술로 전쟁 억제의 중요한 요소임.
- Jack Slessor는 Trenchard의 후계자로 ‘항공력과 육군(Air Power and Armies)’를
통하여 공지협력의 중요성과 국지공중우세개념을 발전시킴
다. 트렌차드의 취약점
1) 적의 중요 중심부에 대한 전략적 항공공격을 수행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적의 교통망과
병력에 대한 보급선을 공격하는 것으로 한정(항공력의 행동반경에 대한 제한)
⇒ 항공력을 지표면 전쟁에서 사용되는 현대무기에 대한 해독제로 보았던 것
2) 전략 항공력 개념의 진정한 핵심인 표적선정에 대해서는 애매한 태도를 보임
- 국지공중우세(local air superiority)의 필요성을 강조, 공중제패(air supremacy)를
획득하는 것은 공중 공간의 크기 때문에 불가능하다고 생각
⇒ 적 항공력의 근원을 파괴하기 위한 언급이 없음
⇒ 항공력은 너무 새로운 것이었기 때문에 어떤 가능성을 이해하기보다는 그저
느낄 뿐이었음.(당시 대부분의 항공인도 마찬가지)
5. 결 론
트렌차드의 주장들은 육군과 해군이 전쟁의 판도를 주도했던 당시로서는 객관적으로 수용되기
어려운, 다소 비약적인 논리였다. 따라서 전쟁 이론과 관련된 사상가들로부터 많은 비난을
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의 이론은 이후의 여러 전쟁에서 실증적으로 증명되었으며,
그가 주장하던 항공전략사상의 핵심인 전략폭격 이론은 이후 세대의 전략억제 개념
정립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지난 100년간 발생한 주요 전쟁에서 항공력이 수행한 역할과 효과의 정도는 전쟁의
정치적인 목적달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주변적인 요소로부터 영향력 있고 지배적인
요소로 발전되었다. 따라서 우리 공군인들은 항공전략 사상가들이 주장에서 교훈을
도출하고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 참 고 문 헌 >
1. 공군대학. 군사전략․전술의 이론과 실제. 청주 : 공군교재창, 1997.
2. 공군대학.『항공력 이론의 진화』. 청주 : 공군교재창, 2005.
3. 공군대학.『항공전략사상』. 청주 : 공군교재창, 1985.
4. 공군본부 편. 『공군력에 대한 바른 이해』. 대전 : 공군 전투발전단, 1998.
5. 공군대학. 『The PATHS of HEAVEN : 항공력 이론의 진화(1)』. 청주 : 공군교재창, 1999.
6. 공군본부(공군전투발전단). 『공군력에 대한 바른 이해 : 항공전략사상 및 항공력의 교훈』.
청주 : 공군교재창, 1999.
'전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공군 조종사들은 최정예 조종사들인가? (0) | 2008.04.13 |
---|---|
미래 전장 환경과 공군력 건설 정책에 대한 문제점 및 해결방안 (0) | 2008.03.25 |
구소련 공군의 관점에서 바라본 MIG-23MLD VS 서방측 전투기 (0) | 2007.02.27 |
spatial disorientation(비행착각)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0) | 2007.01.03 |
G-LOC이란 무엇인가? (0) | 2007.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