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항공 4

민간항공 조종사의 유니폼 유래와 그 의미

'제복 효과(enclothed cognition)'라는 용어가 있다. 사람들이 그가 입는 옷에 따라 태도가 달라지는 현상을 일컫는 말로 미국 켈로그 대학의 애덤 갤린스키 박사가 정의한 용어이다. 하조 애덤과 애덤 갈린스키가 2012년 실험 사회심리학 저널에 기고한 논문 ‘의복착용과 인식작용’을 보면 잘 나와 있다. 그들은 주의력을 테스트하는 스트룹 테스트(Stroop test)를 진행한 결과, 의사의 흰 가운을 입은 사람들이 가운을 입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실수를 절반 정도만 저지른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의사의 흰 가운을 입었을 때 주의력이 더 높아졌던 것이다. 보통 사람이라도 의사 가운을 입고 있으면 주의력이 강해지고 정확해지며 조심성이 많아진다는 것이다. 즉, 제복이 의식을 규정하는 것이다. 제..

민간항공 2023.03.26

대한민국의 비행장과 K-SITE CODE

註) 지금부터 읽으시는 내용은 인터넷과 각종 언론 보도를 취합하여 작성한 게시물입니다. 대한민국에는 몇개의 비행장이 있을까? 그리고, 나이 든 분들이나 공군들은 왜 비행장을 K-2, K-16이라는 식으로 부를까? K-SITE CODE는 미 공군에서 한국전쟁 당시 한반도(+ 이북 5도)의 군사 공항, 비행장을 부를 때 사용했던 코드이며 지금도 쓰이고 있다. 통상 전선에 위치한 관측기/연락기/수송기가 이용할 목적으로 건설된 야전비행장이었다. 흔히 대구공항을 K-2라고 부르는데 이때 K-2가 바로 K-SITE다. 성남비행장이 K-16이라 불리는 것도 같다. 전쟁 당시에 쓰인 명칭이다 보니 현재는 없어진 비행장들도 상당히 많다. 참고로 한국 전쟁(1950년~1953년) 때 사용했던 호칭이므로 그 이후에 건설된 ..

민간항공 2018.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