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2012년 10월 2일 「유용원의 군사세계」에 올렸던 글입니다.
제가 몇일전 combat bingo와 bingo의 차이점에 대해 발제글을 올렸습니다.
올린 동기는 공중급유기 이야기가 나오면서 일부 네티즌들이 독도상공에서 KF-16 5분 체공설은 공중급유기를 도입하기 위해 공군이 과장하는 것일지도 모른다고 의혹을 제기하셔였는데요.
오늘은 독도상공에서 충분한(?) 전투초계가 가능한 F-15K의 예를 한번 검토해볼까 합니다.
앞으로 게시되는 글은 일반적인 상식과 초등학교 수준의 산수에 기초한 글입니다. 절대 현재의 한국공군이 이렇게 운용된다는 것이 아닙니다.
앞으로 게시되는 글은 일반적으로 언론에 의해 공개되어 있는 보도자료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FACT(그리고 가정) :
1. F-15K의 보유댓수는 60기
2. KF-16의 보유댓수는 130여기
3. 대함공격이 가능한 P-3C의 보유댓수는 16기
4. 독도를 포함한 동해상에서 무력충돌이 발생시 가상적과 교전가능한 현대적인 공군 전술기의 숫자는 F-15K + KF-16 포함 190여기, 가동율 90%(최대한 낙관적으로 가정)시 F-15K 54기, KF-16 125기 합계 180기
5. 무력충돌 발생시 대함공격이 가능한 P-3C는 보유댓수의 부족으로 대잠작전에 투입하기에도 부족
6. 대구기지에서 독도까지 직선거리 180노티컬마일, 예천기지에서 독도까지 173노티컬마일, 강릉기지에서 145노티컬마일
7. 마하 1로 비행시 1225.15km/h = 680노티컬마일/h. 임무지역으로 오갈 때 마하1보다는 느린 속도로 오갈 것으로 예상되므로 시속 600노티컬마일 이하일 것으로 예상. 대구기지에서 독도까지 대략 20~25분소요, 예천기지에서 독도까지 20~24분, 강릉기지에서 독도까지 18~20분 소요. 간단히 아공군 전술기지에서 독도까지 20분 소요 가정
8. 독도근처에서 가상적의 해상세력과 아해군 해상세력이 대치중, 상공에서는 아공군 전술기와 적전술기 대치중. 대한민국 정부와 가상적국은 분쟁을 독도 근해로 한정지을 것을 묵시적으로 동의
9. 공대공 임무시 독도 인근에서 체공가능 시간은 KF-16 5분, F-15k 30분으로 가정, 공대지 임무시 KF-16 30분, F-15K 1시간으로 가정
10. F-15K의 주임무와 가장 잘 할 수 있는 임무는?
11. KF-16의 주임무와 가장 잘 할 수 있는 임무는?
12. 가상적은 공중급유기 6기 보유, 조기경보기 10대 이상 보유
13. 아해군과 가상적 해군의 이지스함은 상대방의 대함미사일 공격에 대비하여 함대공미사일 발사 자제
14. 아군은 아군 해상세력 지원을 위해 공대공 4대, 공대함 4대 24시간 체공대기 지원(가정)
독도상공에서 대치상황 발생시 상시 초계를 위한 작전 투입기수는?
1. F-15K만으로 작전수행시
가.1200시 작전지역 공대공 초계 항공기 4대 초계시작 & 후속전력 4대 작전 투입(엔진시동/택시/활주로 정대에 10분 + 임무지역 진입 20분 소요) & 초계임무종료항공기 4대 귀환시작(엔진정지까지 30분), 좌석대기 비상 항공기 4대(교전 임박 또는 교전발생시 즉각지원전력 투입대비 1시간 대기) : 1시간 동안 초계 항공기 8대, 작전지역 입출항항공기 8대, 비상대기 항공기 4대, 총 20대 투입(고장등 각종 비정상 상황 대비 예비기 2대 고려시 1시간당 22대)
나. 공대지 전력은 유사시 탑재한 SLAM-ER 또는 하푼 발사후 즉각 이탈을 전제로 1시간 체공(단, 공대공 전투는 절대 회피)시, 1200시 초계항공기 4대 초계시작 , 초계종료 항공기 4대 귀환, 30분후 초계임무 투입 항공기 4대 투입, 좌석대기 항공기 4대 지상대기, 총 16기 투입
다. 시간당 총 작전 투입 항공기는 예비기 미고려시에도 36기, 대북대비태세준비항공기 8대(일반가정) 추가 열외
라. 1300시부터의 작전 투입 가능 항공기는 공대공 임무에 1200시 전반에 귀환후 정비완료한 항공기 4대 + 비상대기 항공기 4대(조종사만 교대) + 공대지 임무 귀환후 정비종료 항공기 4대 + 공대지 지상대기 항공기 4대 + 공대공 8대(신규) + 공대지 8대(신규투입)으로 공대공 16대, 공대지 16대 투입가능.(귀환항공기의 야전정비와 무장 지원에 30분 소요 가정)
-->> 결론적으로1300시부터의 공대공 작전 투입시에는 지상 비상대기 항공기 준비 불가능. F-15K만으로 독도 지역 국지 분쟁 대비는 채 2시간을 유지할 수 없음!!!!
2. F-15K가 공대공 임무 담당, KF-16이 공대지 임무 담당시
가. 1200시 작전지역 공대공 초계 항공기 4대 초계시작 & 후속전력 4대 작전 투입(엔진시동/택시/활주로 정대에 10분 + 임무지역 진입 20분 소요) & 초계임무종료항공기 4대 귀환시작(엔진정지까지 30분), 좌석대기 비상 항공기 4대(교전 임박 또는 교전발생시 즉각지원전력 투입대비 1시간 대기) : 1시간 동안 초계 항공기 8대, 작전지역 입출항항공기 8대, 비상대기 항공기 4대, 총 20대 투입(고장등 각종 비정상 상황 대비 예비기 2대 고려시 1시간당 22대)
나. 1200시 작전지역 공대지 초계 항공기 4대 초계시작 & 후속전력 4대 작전 투입(엔진시동/택시/활주로 정대에 10분 + 임무지역 진입 20분 소요) & 초계임무종료항공기 4대 귀환시작(엔진정지까지 30분), 좌석대기 비상 항공기 4대(교전 임박 또는 교전발생시 즉각지원전력 투입대비 1시간 대기) : 공대지 전력 16대 투입, 1시간 동안 초계 항공기 8대, 작전지역 입출항항공기 8대, 비상대기 항공기 4대, 총 20대 투입(고장등 각종 비정상 상황 대비 예비기 2대 고려시 1시간당 22대)
다. 시간당 작전투입항공기는 F-15K/KF-16 각 20대
라. 1300시부터 공대공 작전투입 가능 항공기는 대북 대비 항공기 4대 제외하고 30대, 하지만 대북 대비 항공기 후속 지원기 고려시 20대로 가정
마. 1300시부터 공대지 작전투입 가능 항공기는 대북 대비 공대공/공대지 항공기 20대와 대북대비 후속 지원기 20대 제외시 65기
바. 결론적으로 F-15K는 수일간의 단기간으로 가정시 대북 억제와 훈련임무 투입을 실시하지 않는다면 24시간 공중엄호 가능. 단, 장기간 공중엄호 불가능. KF-16의 경우, 대북억제 공중초계임무를 고려시 정상적인 훈련임무에 투입 가능한 항공기는 25기로 일일 기당 3회 투입시 75소티로 시간당 5소티 훈련 가능(최소한의 기종전환 및 기량 유지 훈련임무도 수행 불가)
3. F-15K가 공대지 임무 담당, KF-16이 공대공임무 담당시
가. 시간당 초계항공기 48대 , 전장 입출항 항공기 48대, 지상대기 항공기 4대 총 100대 필요. 2시간을 유지할 수 없음
나. KF-16이 전적으로 공대공 임무를 담당하는 것은 불가능.
4. 결론 : 공대공 임무는 F-15K가 주로 담당하되, KF-16이 보조 임무를 수행하고, 공대지 임무는 KF-16이 담당해야 함.
5. 공중급유기 지원이 가능할 경우(공중급유기 댓수는 나도 모릅니다. 30분당 4대의 지원은 지속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산수 들어갑니다.)
가. 공중급유기 작전 지역은 동해안의 해안선 근처 동쪽입니다.
나. 공중급유기는 해안선 근처에 전개한 패트리어트 또는 KM-SAM의 방공우산 지원을 받습니다. 또한, F-4/5의 직접 공중 엄호와 KF-16의 지상대기전력의 지원을 받습니다.
다. 독도상공에서 공중급유지역까지의 비행시간은 10분입니다. 저도 잘 모릅니다만 BOOM 방식으로 5분이 소요된다면 10분 당 2대가 급유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경우, 공중급유기가 2대가 필요합니다.
라. 공중급유에 대당 10분이 소요된다면 공중급유기가 4대가 필요합니다.
마. 공중급유기는 1소티당 4시간을 체공하며, 5번의 급유를 시행합니다. 이건 걸프전의 경우입니다. 하지만 한국은 작전종심이 짧으니, 4시간을 체공하며 8번의 급유서비스를 제공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어디까지나 가정이니까요. 내 맘대로 입니다.). 물론 귀환중 재급유를 받아서 아예 COMBAT BINGO와 BINGO FUEL 자체를 낮게 잡아서 체공시간 자체를 늘릴 수도 있습니다만 제 머리가 짧아서 그 경우는 생각하지 않겠습니다.
바. 공중급유시 작전지역 공대공 초계 항공기 4대 초계시작 & 이전전력 4대 공중급유지역 귀환 및 급유시작 & 좌석대기 비상 항공기 4대(교전 임박 또는 교전발생시 즉각지원전력 투입대비 1시간 대기) : 1시간 동안 초계 항공기 8대, 비상대기 항공기 4대, 총 12대 투입(고장등 각종 비정상 상황 대비 예비기 2대 고려시 1시간당 14대). 일단 투입된 전력은 4시간동안 지속투입된다고 할 때, 4시간동안 이전투입되었던 전력의 정비와 휴식을 실시하고 재투입이 가능. 일중 공대공 전력으로 20대의 전력만 투입이 가능.
사. 공중급유기는 최소 체공항공기 4대, 교대항공기 4대, 정비창입고 2대 등 일중 지속임무 투입을 위해 10대 필요. 8대 보유시 7대투입가능, 4대 보유시 3대 투입가능
아. 공중급유기 10대시 일중 최소의 전력으로 엄호 가능, 8대 보유시 4시간은 4대 투입, 4시간은 공중급유기 2대로 공중초계전력을 30분간은 4대, 30분간은 2대 유지하여 전력 운용가능, 4대 보유시 4시간은 2대 투입, 4시간은 공중급유기 없이 일당 3회의 작전임무 수행해야함.
자. 4대 보유시, 1200시 공중급유기 2대, 공중전투초계 4대 작전시작, F-15K 2대 공중급유위해 작전지역 이탈, F-15K 2대 기지 귀환 시작, 1230시 공중전투초계 2대 작전시작, 2대 공중급유위해 작전지역 이탈, 2대 귀환시작, 2대 작전지역 투입위해 기지 이륙으로 시간당 작전투입 8대, 지상대기 4대로 12대 필요. 4시간은 20대 필요. 일중 12시간은 8대의 항공기전력 증가 효과가 있음.
최종 결론 : 공중급유기가 4대라도 있다면 작전의 융통성과 투입전력은 획기적으로 증가합니다.
'전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랑스 항공전역 분석 (0) | 2013.03.15 |
---|---|
현리전투의 패장 유재흥 관련 괴담은 어디까지가 사실일까? (0) | 2013.03.15 |
combat bingo와 bingo의 차이 (0) | 2013.02.04 |
레이더의 최대 탐지거리와 미사일 발사 가능거리 (0) | 2013.02.04 |
3, 4차 중동전에서 이스라엘과 아랍의 항공력 운용 비교 (0) | 2010.06.03 |